이런 고민 있으신 분에게 추천해요
“코딩 테스트를 준비해야 하는데, 어떤 것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어요."
"기초 문법은 아는데, 알고리즘 문제는 너무 어렵게 느껴져요."
"혼자 푸는 게 막막하고, 꾸준히 하기 어려워요."
AI 시대, 알고리즘을 배워야 하는 이유
GPT가 다 해주는데 굳이 알고리즘을 배워야 하나요?
AI가 좋은 답을 주려면 내가 좋은 질문을 해야 해요. "그냥 해줘"와 "무엇을 어떻게 해줘"는 완전히 다른 결과를 가져오거든요. 알고리즘을 알아야 AI에게 정확한 주문을 할 수 있고, AI가 만든 코드가 정말 효율적인지 판단할 수 있어요. AI는 도구일 뿐, 그 도구를 제대로 쓰려면 기본기가 있어야 해요.
특별한 학습법: 2인 1조 코딩
처음 배울 때 가장 어려운 것이 바로 컴퓨터스럽게 생각하기예요. 개념은 알겠는데 막상 코드로 구현하려면 막막하죠. "어떻게 컴퓨터에게 설명해야 하지?" 하면서요.
그래서 우리는 사람과 컴퓨터 역할을 나눠서 연습해요. 한 명은 명령을 내리는 사람이 되고, 다른 한 명은 그 명령을 실행하는 컴퓨터가 되는 거예요. 이렇게 하면 자연스럽게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사고를 기를 수 있어요.
역할 분담은 이렇게 해요
사람 A (Navigator)
•
문제를 분석하고 전략을 세워요
•
B에게 명확한 명령을 내려요
•
전체적인 흐름을 관리해요
•
오류나 개선점을 찾아내요
"먼저 입력값을 받아서 정수로 변환해줘. 그 다음에 반복문으로..."
사람 B (Driver)
•
A의 명령을 코드로 구현해요
•
문법과 세부사항을 처리해요
•
애매한 명령에 대해 질문해요
•
더 나은 방법을 제안해요
"그 부분이 좀 애매한데요. 구체적으로 어떤 조건문을 써야 할까요?"
한 사이클은 이렇게 돌아가요
1단계: 문제 분석 (5분)
•
둘이 함께 문제를 읽고 이해해요. 입력, 출력, 제약사항을 명확히 파악하죠.
2단계: 전략 수립 (5분)
•
A가 주도해서 문제를 작은 단계로 나누고 해결 방법을 계획해요.
3단계: 구현 (15분)
•
A가 명령하고 B가 코딩해요. 실시간으로 소통하며 문제를 해결하죠.
4단계: 검토 & 피드백 (5분)
•
결과를 확인하고 서로에게 피드백을 줘요. 다음 사이클에서는 역할을 바꿔요!
이런 능력을 기를 수 있어요
•
A는 명령을 더 구체적으로 내리는 법을 배우고 논리적 사고력이 향상돼요.
•
B는 애매한 부분을 질문하는 법을 배우고 구현력이 강화돼요.
•
서로의 관점에서 소통하고 협업 능력과 디버깅 능력이 향상돼요.
수업 방식과 커리큘럼
세부 일정 및 내용은 멘토 사정에 따라 일부 조정될 수 있습니다.
주차 | 내용 |
1-2주 | 기초 코드 작성 요령 |
3주 | 배열과 연결리스트 |
4주 | 큐 |
5주 | 스택 |
중간고사 | |
6주 | BFS |
7주 | DFS |
8주 | 재귀 |
9주 | 백트래킹 |
10주 | DP |
11주 | 이분탐색 |
기말고사 |
•
비대면: 개념 학습 및 해법 코드 제공
•
대면: 개념 복습 + 개인 1문제 + 2인 1조 2문제
코드는 C++로 제공되며 다른 언어로 참여하셔도 괜찮습니다.
멘토 소개
•
부경대학교 컴퓨터·인공지능공학부 컴퓨터공학전공 3학년
•
데이터베이스 연구실 소속
•
알고리즘 관련 대회 수상 10회 이상